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궁금해하는 연봉!
그런데 연봉을 이야기할 때 세전 연봉과 세후 연봉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. 두 개념의 차이를 모르고 계약하면 예상했던 월급과 차이가 날 수 있는데요. 이번 글에서는 세전 연봉과 세후 연봉의 차이점, 그리고 연봉 계산법을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
📌 대부분의 회사는 "세전 연봉"을 기준으로 연봉을 협상하며, "세후 연봉"은 실제 받는 금액이므로 월급을 계산할 때 중요합니다.
세후 연봉을 계산하려면 먼저 공제 항목을 알아야 합니다. 일반적으로 연봉에서 빠지는 돈은 다음과 같습니다.
✅ 4대 보험료 (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장기요양보험) ✅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✅ 기타 공제 항목 (노조비, 사내 복지비 등)
항목 연간 금액
세전 연봉 | 40,000,000원 |
국민연금 (4.5%) | 약 1,800,000원 |
건강보험 (3.545%) | 약 1,418,000원 |
장기요양보험 (건강보험의 12.27%) | 약 174,000원 |
고용보험 (0.9%) | 약 360,000원 |
소득세 + 지방소득세 | 약 2,800,000원 |
총 공제액 | 약 6,552,000원 |
세후 연봉 | 약 33,448,000원 |
월 실수령액 | 약 2,787,000원 |
📌 연봉이 높을수록 세금이 더 많이 공제되므로, 세후 연봉은 개인별로 차이가 있습니다.
보통 연봉 계약은 세전 기준으로 진행되지만, 일부 회사에서는 세후 연봉을 기준으로 제시하기도 합니다. 이럴 경우 다음 사항을 확인하세요.
✔ 세전 연봉인지, 세후 연봉인지 반드시 확인 (연봉 협상 시 중요!) ✔ 세후 연봉으로 계약하면 실수령액이 고정되지만, 세금 변동에 따라 월급 차이가 날 수 있음 ✔ 급여 인상 시 세전 연봉 기준으로 인상되는지 확인 필요 ✔ 연봉 계약서에 기준을 명확히 표기하도록 요청
✔ 회사에서 제시한 연봉이 세전인지, 세후인지 확인
✔ 본인이 실제로 받을 월 실수령액 계산하기
✔ 세금과 공제 항목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받을 금액 예상해보기
✔ 4대 보험과 세금 공제율을 감안하여 총 예상 수령액을 미리 계산
✔ 연봉 계약서에 연봉 기준이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는지 체크
구분 세전 연봉 세후 연봉
의미 | 세금 공제 전 총 연봉 | 세금 공제 후 실제 받는 금액 |
계약 기준 | 대부분 세전 기준으로 계약 | 드물지만 일부 회사에서 세후 계약 진행 |
급여 수령액 | 공제 전 금액 | 실수령액 기준 |
주의할 점 | 세후 실수령액과 비교 필수 | 세금 변동 가능성 고려 필요 |
💡 연봉 계약 시 "세전 연봉"과 "세후 연봉"의 차이를 반드시 확인하고 협상해야 합니다.
혹시 연봉 계산이 어렵다면, 연봉 계산기(국세청 홈페이지, 네이버 연봉 계산기 등)를 활용하여 예상 월급을 직접 확인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 😊
2025 쉐보레 스파크 EUV: 소형 전기 SUV의 새로운 기준 (1) | 2025.03.07 |
---|---|
미국 검정고시 GED란? 합격 방법부터 활용까지! (0) | 2025.03.06 |
스카이패스 삼성카드 살펴보기: 여행을 위한 최고의 마일리지 카드 (1) | 2025.03.06 |
청년문화예술패스: 문화예술을 저렴하게 즐길 수 있는 청년 혜택 (1) | 2025.03.05 |
첫 출근 후 하루 만에 해고 통보… 구제 방법은? (0) | 2025.03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