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연봉 세전 계약 vs 세후 계약 – 차이점과 계산법

사회

by fidgety 2025. 3. 6. 21:50

본문

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궁금해하는 연봉!

 

그런데 연봉을 이야기할 때 세전 연봉세후 연봉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. 두 개념의 차이를 모르고 계약하면 예상했던 월급과 차이가 날 수 있는데요. 이번 글에서는 세전 연봉과 세후 연봉의 차이점, 그리고 연봉 계산법을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


 

1. 세전 연봉 vs 세후 연봉 – 무엇이 다를까?

 

✅ 세전 연봉이란?

  • 세금과 공제 전의 총 연봉을 의미합니다.
  • 대부분의 기업은 세전 기준으로 연봉 계약을 진행합니다.
  • 예를 들어, 연봉 4,000만 원으로 계약했다면 이는 세금이 빠지기 전 금액입니다.

 

✅ 세후 연봉이란?

  • 세후 연봉은 세금과 공제 항목(4대 보험, 소득세 등)을 제외하고 실제 받는 금액입니다.
  • 즉, 월급으로 내 통장에 찍히는 금액을 기준으로 연봉을 계산한 것입니다.
  • 예를 들어, 세전 연봉 4,000만 원인 경우, 세후 연봉이 약 3,200만 원이라면 실제 수령액은 연 3,200만 원입니다.

📌 대부분의 회사는 "세전 연봉"을 기준으로 연봉을 협상하며, "세후 연봉"은 실제 받는 금액이므로 월급을 계산할 때 중요합니다.


2. 연봉 계산법 (세전 → 세후)

세후 연봉을 계산하려면 먼저 공제 항목을 알아야 합니다. 일반적으로 연봉에서 빠지는 돈은 다음과 같습니다.

📌 공제 항목 (급여에서 차감되는 비용)

4대 보험료 (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장기요양보험) ✅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기타 공제 항목 (노조비, 사내 복지비 등)

🔹 예제: 연봉 4,000만 원인 경우 세후 연봉 계산 (예상)

항목 연간 금액

세전 연봉 40,000,000원
국민연금 (4.5%) 약 1,800,000원
건강보험 (3.545%) 약 1,418,000원
장기요양보험 (건강보험의 12.27%) 약 174,000원
고용보험 (0.9%) 약 360,000원
소득세 + 지방소득세 약 2,800,000원
총 공제액 약 6,552,000원
세후 연봉 약 33,448,000원
월 실수령액 약 2,787,000원

 

📌 연봉이 높을수록 세금이 더 많이 공제되므로, 세후 연봉은 개인별로 차이가 있습니다.


3. 세후 연봉으로 계약할 때 주의할 점

보통 연봉 계약은 세전 기준으로 진행되지만, 일부 회사에서는 세후 연봉을 기준으로 제시하기도 합니다. 이럴 경우 다음 사항을 확인하세요.

세전 연봉인지, 세후 연봉인지 반드시 확인 (연봉 협상 시 중요!) ✔ 세후 연봉으로 계약하면 실수령액이 고정되지만, 세금 변동에 따라 월급 차이가 날 수 있음급여 인상 시 세전 연봉 기준으로 인상되는지 확인 필요연봉 계약서에 기준을 명확히 표기하도록 요청


4. 연봉 협상 시 꼭 확인해야 할 것

회사에서 제시한 연봉이 세전인지, 세후인지 확인

본인이 실제로 받을 월 실수령액 계산하기

세금과 공제 항목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받을 금액 예상해보기

4대 보험과 세금 공제율을 감안하여 총 예상 수령액을 미리 계산

연봉 계약서에 연봉 기준이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는지 체크


✅ 정리: 세전 연봉 vs 세후 연봉 핵심 요약

구분 세전 연봉 세후 연봉

의미 세금 공제 전 총 연봉 세금 공제 후 실제 받는 금액
계약 기준 대부분 세전 기준으로 계약 드물지만 일부 회사에서 세후 계약 진행
급여 수령액 공제 전 금액 실수령액 기준
주의할 점 세후 실수령액과 비교 필수 세금 변동 가능성 고려 필요

 

 

💡 연봉 계약 시 "세전 연봉"과 "세후 연봉"의 차이를 반드시 확인하고 협상해야 합니다.

혹시 연봉 계산이 어렵다면, 연봉 계산기(국세청 홈페이지, 네이버 연봉 계산기 등)를 활용하여 예상 월급을 직접 확인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 😊

 

관련글 더보기